본문 바로가기
2021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1분기 신청 바로가기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1분기 신청일 지급일 신청현황 분기별 25만원 총100만원 지급!! 경기도에서는 청년들의 사회적 기본권 보장을 위해 지역내 청년들에게 '청년기본소득'을 지급한다. 2021년 신청일정이 공고되었는데 올해는 감염병 시국으로 인해 지급관련 추가된 점이 있으니 아래 내용을 잘 확인해보기 바란다. 2021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연령기준과 거주요건을 만족하면 소득에 관계없이 청년 1인당 분기별 25만원씩 연 최대 100만원의 기본소득을 지급받을 수 있는 정책이다. 분기별 지급이 원칙이나 현재 감염병 시국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상자들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동의자에 한해 조기지급 및 2021년분이 일괄 지급한다. 1분기 지원대상은? 기본소득 지원대상은 매년 ..
2021 창녕군 청년월세지원 신청 바로가기 창녕군 청년 월세 150만원 지원 매월 15만원 X 10개월 지급!! 경남 창녕군에서는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경감하여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2021년 청년 월세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참여대상 청년들을 모집한다. 창녕군 청년월세지원 2021년 창녕군 청년월세지원 사업은 총 40명의 지원대상 청년을 모집한다. 지원대상 청년은 매달 발생하는 월 임차료 중 최대 15만원을 10개월간 지급받을 수 있다. (연 최대 150만원, 2월분부터 지급) 월세지원 방식은 청년이 먼저 월 임차료를 납부하면, 납부내역을 확인한 뒤 개별적으로 지급한다. 만일 청년의 납부 월세가 15만원 미만일 경우 실제 납부 금액만큼 지원된다. 지원대상은? 지원대상은 공고일(2월19일) 기준 창녕군에 주민등록상 거주하고 있..
2021 양산시 청년월세지원 신청 바로가기 양산시 청년 월세 지원 매월 15만원 X 10개월간 지급!! 경남 양산시에서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여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2021년 청년 월세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참여대상 청년들을 모집한다. 양산시 청년월세지원 2021년 양산시 청년월세지원 사업은 총 133명의 지원대상 청년을 모집한다. 지원대상에 선정될 경우 매월 발생하는 임차료 중 최대 15만원을 10개월간 지원 받을 수 있다. (연 최대 150만원) 지급방식은 청년이 먼저 월세를 납부하면, 실제 납부 내역을 확인하고 개인별로 지원금이 지급된다. 만일 월 임차료가 15만원 미만일 경우에는 실제 납부 금액만 지급된다. 지원대상은? 지원대상은 공고일(2월19일)을 기준으로 양산시에 주민등록상 주소를 두고 있는 만 19세 이상..
2021 창원시 청년월세지원 신청 바로가기 창원시 월세지원 신청 월세 최대 150만원 지급!! 창원시에서는 '2021년 청년 월세 지원사업'을 시행한다. 해당 사업은 창원시에 거주하는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경감하여 청년들이 보다 안정적인 주거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청년월세지원 사업은 매월 발생하는 월 임차료(월세) 중 최대 15만원을 10개월간 지원한다(연 최대 150만원). 만약, 월 임차료가 15만원 미만일 경우 실제 납부 금액만큼 지원한다. 청년이 월세 선 납부 > 납부내역확인 > 개인별 지급 지원대상은? 창원시에 거주하고 있는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의 청년으로 아래의 요건을 만족해야 한다. 공고일 기준 주민등록상 창원시에 주소를 두고 있는 청년 공고일 기준 창원시 내 청년의 명의로 임대차 계약이 체결 되어 있어..
2021 부산 디딤돌카드 신청 바로가기 부산시 사회진입활동지원금 지급 디딤돌카드 신청방법 부산시에서는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청년들을 경제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2021년 부산시 디딤돌카드'(청년 사회 진입 활동 지원금) 사업을 시행한다. 디딤돌카드란? 부산 디딤돌카드 사업은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이 취업 및 창업 준비 과정에서 필요한 제원을 마련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사회진입활동 지원금이다. 매월 사회진입활동비 명목으로 50만원을 지급하며 최대 6개월간 지원한다(최대 300만원). 지원금은 전용 체크카드(클린카드) 포인트 형식으로 지급되며, 쥐업과 창업을 목적으로 하는 지출처에 사용할 수 있다. - 직접비 : 학원 및 인터넷 강의 수강료, 서적 구입, 증명사진 촬영비, 면접 복장 구입, 시험 응시료, 자격증 취득 - 간접비 : 교통비, 식비..